2006년 건설운송노동자 투쟁의 의미와 투쟁이 남긴 과제

건설운송노동자들이라 불리우고, 건설자본들은 건설기계사업자라고 부르는 덤프노동자들과 레미콘노동자들이 올겨울 가장 추웠다는 지난 11월 12일부터 총파업을 시작하면서 15일까지 3박4일간의 상경투쟁을 하고 지역투쟁을 하고 있다.

평균나이 45세, 십 수년을 건설운송일을 하면서 빛 좋은 개살구 “사업자”로 일하였지만, 평균 빚이 4천만원이 넘고 한가족이 모여 살며 여생을 같이 보낼 집 한 칸이 없는 이 노동자군대 5천여 명이 겨울비에 차디찬 밥으로 끼니를 때우며 총파업을 하였다.

이제 조금 있으면 땅이 얼어 일을 하지 못하는 건설현장의 특성 때문에 지금 바짝 벌어서 겨울을 보내야 하기에 하루일이 아쉽고, 파업을 하여도 지출되는 돈은(차량 할부금등)여전히 늘어나는 전국의 건설운송노동자들이 서울로 모여들었다.


우리의 요구는 간단하다. 10여 년 전 건설회사와 레미콘회사에 정규직 노동자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나,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사업자로 강요되어 겉옷은 사업자의 옷을 입고 있지만, 속옷은 여전히 정규직 노동자의 모습 그대로이기에 예전의 지위인 노동자로 되돌려 달라는 것이고, 정부와 자본이 필요에 의해 마냥 늘려놓은 건설기계의 공급과잉으로 생존의 벼랑에 몰려있기에 건설운송노동자들이 먹고 살수 있을 만큼 일할 수 있게 수급을 조절해 달라는 것이다.

또한, 건설사들의 이익을 위해 도로가 파손되건 다리가 무너지건 아무런 상관없이 과적을 일삼는 건설사들을 처벌할 수 있는 법을 개정하였는데 이 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니 개정된 법을 올바로 지켜낼 수 있는 개선책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를 하였다.


2000. 9. 19. 설립신고필증을 교부받아 전국건설운송노동조합은 창립되었다. 전국건설운송노동조합은 레트믹스콘크리트를 운송하는 레미콘 노동자와 건설현장의 토사, 골재, 폐기물, 아스콘 등을 운송하는 덤프노동자들로 구성되었다. 특히 덤프노동자는 2004년 9월 민주노총 덤프연대로 창립되어 수도권 1,500여 조합원으로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전국16개지부와 130여개 지회 14,000여명의 조합원으로 덤프노동자의 대표조직이라 할 수 있다.

2003년 9월 교통개발연구원의 인건비 산정기준에 의하면 건설기계운전기사[건설기계는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모든 기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26개종에 이릅니다. 이 중 덤프노동자는 덤프트럭을(15톤, 24~5톤)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사, 골재, 페기물, 아스콘 등을 운반하는 일을 주 업무로 하고 있으며, 전국에 5만 여명의 덤프노동자가 있습니다.] 기준으로 월 1,977,825원의 인건비 적용을 받아야 하지만, 매출 50~60%이상이 유류대이며 여기에 차량수리비, 타이어 등 부품교체를 본인 부담으로 하며, 15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매월100만원씩의 적자로 인해 전체 5만 덤프노동자의 1/4이 신용불량자 신세가 되고 있다.

덤프트럭의 경우 현장에 작업을 나가는 경우 작업에 필요한 경비(차량유류비, 운전자식대 등 차량관리에 필요한 제 경비일체)를 운전자가 부담을 하고 현장관계자가 제시하는 하루 몇회라는 운반횟수를 달성하여야 약속한 운임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특정한 횟수를 채우지 못할 경우 못 받는다.

즉 덤프트럭의 운임구조는 일반 화물트럭의 경우처럼 얼마나 많은 양을 목적지까지 운반하여 주고 그 양에 의하여 운임을 받는 그러한 구조가 아니라, 목적지까지 얼마나 많은 횟수를 하느냐는 것에 따라 이해관계가 성립이 되는 것이다.

과적은 결국 운송회수가 줄어들게 되어 덤프노동자의 일감이 줄어드는 상황으로 귀결되며 과적으로 인한 차량의 손실, 유류대의 증가, 과적단속에 대한 벌금 등 덤프노동자에게는 아무런 실익이 없고 오히려 불이익만 오는 행위인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덤프노동자는 최하위에 위치하며 일용직처럼 언제든지 계약이 해지될 수 있는 현실에 과적을 거부하라고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나마 노조가 생기고 조직력이 어느 정도 있는 현장에서는 싸움을 통해서야만 가능하다

덤프노동자와 레미콘노동자는 건설회사와 레미콘회사의 정규직 노동자였으나, 건설회사와 레미콘회사의 신노무 관리에 의해 강제아웃소싱 되어 사업자로 전환되었으나, 형식만 사업자일뿐 실질적으로는 건설회사와 레미콘회사에 종속되어 정규직 노동자와 다름없이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건설경기가 점점 더 하락하는 추세 속에서 덤프트럭과 레미콘트럭의 공급량이 포화상태에 달하여 가동률이 50%에도 못 미치기에 덤프노동자와 레미콘노동자들은 생존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기에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허가제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만악의 근원으로 건설업계에 만연되어 있는 불법다단계 하도급으로 인하여 건설현장의 가장 열악한 위치에 있는 덤프노동자들은 상습적인 체불과 불법적인 수수료로 운송업무의 정당한 대가를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과적방지 의무를 명시한 도로법이 개정된 지 10여 개월이 지났음에도 과적적발 현장에서는 여전히 운전자 처벌위주의 조사만이 이루어지면서 개정 전 도로법의 입법취지가 현장에서 올바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특수고용노동자라고 불리우는 덤프노동자와 레미콘노동자들이 소속되어 있는 전국건설운송노동조합은 2000년 신고필증을 교부받아 합법적인 노동조합 활동을 하여 왔으나 최근 정부가 특수고용노동자들을 경제법적으로 보호한다는 미명아래 사업자로 낙인찍는 발표를 하면서 특수고용노동자인 당사자들의 의견인 노동기본권 보장은 철저히 무시되면서 자본의 의견만이 반영된 채로 노동자성 인정 논의는 봉쇄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5만 덤프노동자와 2만 레미콘 노동자들은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요구와 건설운송노동자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총파업 투쟁을 2006. 11. 12. 진행하였다.

11월12일부터 3박4일간 힘차게 진행한 서울상경 노숙투쟁은 비바람 속에서도 덤프노동자들의 투쟁의지를 꺽지 못하고 투쟁 속에 한층 더 단단하게 단련되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3박4일간의 상경노숙 투쟁 속에 얻어낸 성과는 도로법 개정 취지에 맞는 건설현장 조사 처벌 명시와 정부정책의 잘못으로 기인한 덤프트럭의 허가제 전환 등 제도개선에 한걸음 전진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에게는 위와 같은 성과도 있지만, 남은 과제도 쉬운 문제가 아니다. 특히, 특수고용노동자의 노동기본권 보장입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그날이 승리하는 그날이 될 것이다. 어쩌면 노동법 체계를 뒤흔들어 놓을 수도 있는 특수고용노동자의 노동자성 인정은 자본이 사활을 걸고 반대할 것이기에, 더욱 힘든 투쟁이 될 것이다.

또한, 건설기계의 수급조절도 법안만이 발의되어 있는 상황이기에 우리들의 요구에 끊임없이 반발하는 자본의 반대도 강력할 것이기에 우리들의 투쟁은 멈출 수가 없다.

이제, 현장복귀투쟁으로 전환하여 앞으로 국회의 입법논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다시 또 파업 투쟁을 준비할 것이다. <노사과연>





현장

2006년 건설운송노동자 투쟁의 의미와

투쟁이 남긴 과제



백승범 | 전국건설운송노동조합 덤프분과 정책국장


태그

레미콘노동자 , 특수고용 , 건설운송노동자 , 던프노동자 , 다단계 하도급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백승범 | 전국건설운송노동조합 덤프분과 정책국장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