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수요 급증으로 데이터 센터가 빠르게 확장되며 물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이를 명확히 공개하지 않고 있다. 특히 냉각용으로 사용되는 물은 일부 센터에서 지역 수자원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구글은 2023년 데이터 센터에서만 61억 갤런(약 231억 리터)을 소비했다. 하지만 기업들의 자발적 보고는 형식과 기준이 제각각이라 전체적인 수자원 영향 평가가 어렵고, 간접적인 전력 사용에 따른 물 소비까지 감안하면 실제 사용량은 훨씬 클 가능성이 크다. AI와 데이터 센터 산업의 급성장 속에서 투명한 수자원 사용 공개와 규제가 시급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남극의 해빙 면적 감소, 해류 둔화, 빙상 붕괴 등의 급격한 변화가 이미 시작되었고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제빙 반사 감소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 해양 생태계 붕괴, 전 세계 해수면 상승과 기후 변화 가속 등으로 이어진다. 특히 남극 해류가 느려지면 지구 기후 조절 기능까지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로 인한 결과로,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지 않으면 되돌릴 수 없는 전환점에 이를 수 있다. 이미 시작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탄소 감축과 함께 전 세계적 적응 준비가 시급하다.
영국 비영리 단체 Global Justice Now의 보고서는 현재 지정된 ‘핵심 광물’ 중 상당수가 녹색 전환과 무관하며, 군사 및 항공우주 산업의 수요에 의해 지정된 것임을 지적했다. 국제 에너지기구(IEA)의 2040년 넷제로 시나리오를 실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증산이 필요한 광물은 7종에 불과하며, 대부분 전기차 생산과 연관돼 있다. 보고서는 녹색 전환을 명분으로 한 군사화와 신식민주의적 광물 수탈을 비판하며, 공정무역, 공급망 정의, 공동체 동의에 기반한 자원 개발 체계의 전환을 촉구한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플라스틱 오염 조약 최종 협상에서 이해관계 충돌로 초안은 오히려 복잡해졌고, 구속력 있는 조항들이 대체로 약화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 석유화학 산업 의존국의 반대로 핵심 쟁점인 화학물질 규제와 생산 감축이 제대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과학적 근거는 명확하며, 국제사회는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하며, 실질적인 조약 없이는 환경과 인류 건강 모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강화된 엘니뇨 현상이 열대 지역 곤충들의 급격한 개체수 감소와 생태 기능 붕괴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희귀한 나비, 딱정벌레, 진딧물류가 회복 불가능한 수준까지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잎 분해 및 소비량도 함께 급감했다. 열대 곤충의 생존 위기는 곧 생태계 전반의 균형 붕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한 장기적이고 전 지구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이 시급하다.
캐나다의 팬서 미네랄스(Panther Minerals)가 알래스카 서부의 보울더 크릭(Boulder Creek)에서 추진하던 우라늄 탐사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엘림(Elim) 마을을 비롯한 원주민 공동체의 오랜 반대 운동 이후 이뤄진 조치로, 지역 주민들은 환경 오염과 생계 위협을 이유로 강하게 반대해 왔다. 다만 채굴 권리를 보유한 지질학자는 다른 기업과의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 지역 사회는 새 개발업체가 등장할 가능성에 여전히 경계하고 있다.
UN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사이, 전례 없는 가뭄이 아프리카를 비롯한 전 세계를 강타해 생계와 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했다. 동·남부 아프리카에서는 작물 실패와 에너지 위기로 인한 기아와 정전이 지속되었고, 스페인·튀르키예·아마존·파나마 운하 등지에서도 식량 생산과 무역, 수자원 관리에 큰 타격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조기 경보 체계 강화, 자연 기반 해법, 지역 간 협력을 통한 공동 대응의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다.
국제사법재판소(ICJ)가 각국은 국경 안팎의 기후 피해를 예방할 법적 의무가 있다고 판결하면서, 호주의 화석연료 수출로 인한 배출 책임 회피 주장을 일축했다. 이 판결은 파리협정 외에도 인권법과 해양법 등 국제법 전반에 따른 의무를 강조하며, 호주를 포함한 국가들이 석탄·가스 산업을 규제하고 단계적으로 중단할 필요가 있음을 명확히 했다. 이 판결은 태평양의 섬나라 바누아투(Vanuatu)의 청년들이 주도한 캠페인에서 시작되었으며, 호주의 향후 기후 소송과 정책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의회에서 추진 중인 'GENIUS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명분으로 암호화폐 산업을 제도권에 편입시키려 하지만, 에너지 집약적인 채굴 방식에 대한 아무런 제한 없이 환경 파괴를 오히려 가속화할 것이란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등 대부분의 암호화폐가 여전히 고에너지 채굴 방식인 '작업증명(PoW)'에 의존하는 반면, '지분증명(PoS)'처럼 훨씬 친환경적인 대안도 존재함에도 법안은 이를 장려하지 않는다. 환경단체들은 이 법안이 거대 채굴 기업들의 확장을 돕고, 소도시 주민들의 피해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남반구 국가들은 여전히 취약한 사회보호 체계를 가지고 있어 대다수 인구가 기후위기의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재난 대비형 현금지원과 조기경보 시스템을 포함한 적응형 사회보호 정책과, 인간·동물·환경 건강의 상호 연계를 강조하는 ‘원헬스(One Health)’ 접근이 통합되어야 한다. 예컨대 세네갈의 티엘랄 프로젝트나 베냉의 송하이 농장 사례처럼, 지역 공동체 중심의 생태농업과 환경보호 활동이 건강과 생계 개선에 기여하면서도 기후위기 대응에 효과적인 모델이 될 수 있다. 사회보호 정책과 원헬스 접근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야말로 지속가능하고 포괄적인 대응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