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에서 권력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 1인에게 집중된 이후, 노동운동은 억압에 직면했고 노동자들의 삶은 더욱 불안정해졌다. 진보적 노동조합총연맹(DISK)의 아르주 체르케조울루 의장은 민주주의의 붕괴가 노동자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고 경고하며, 임금 하락과 높은 물가상승률, 정치적 탄압, 노동조합 간부의 반복적 체포 등을 지적했다. 노동자들은 독재에 맞서 임금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고, 튀르키예의 노동운동은 전 세계 노동자에게 ‘강한 지도자’ 체제의 위험을 알리는 경고등이 되고 있다.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구호 식량 배급소 근처에서 대기 중이던 팔레스타인인들을 공격해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500명 가까이 부상했다. 이에 미국과 이스라엘이 주도하던 ‘가자 인도주의 재단(GHO)’의 식량 배급 시스템이 하루 동안 중단되었고, 이스라엘군은 해당 지역 도로를 '전투 지역'으로 지정했다. 옥스팜의 마흐무드 알사카(Mahmoud Alsaqqa)는 이 시스템이 인도주의가 아닌 "굴욕과 통제"를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현지인들은 생존을 위해 줄을 서지만 되돌아오는 것은 총탄뿐이라며 "죽음의 덫"이라고 규탄했다. 유엔과 국제 인권 단체들은 즉각적인 독립 조사와 영구적 휴전을 요구하고 있다.
스위스 기업 클라임웍스(Climeworks)는 대기 중 탄소포집을 약속하며 수천 명에게 탄소크레딧을 판매했지만, 실제 포집량은 극히 미미하고 회사 자체의 배출량이 이를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2021년 이후 클라임웍스가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연간 1천 톤 남짓에 불과하며, 일부 고객은 수년간 비용을 지불하고도 아무런 탄소제거 효과를 받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 기술이 오히려 화석연료 산업의 생존을 연장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비판하며, 클라임웍스의 비즈니스 모델은 "탄소 폰지 사기"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군이 6월 3일 가자 남부 민간 배급소 인근에서 어린이를 포함한 수십 명의 팔레스타인인에게 총격을 가해 최소 27명이 사망했다. 이는 사흘 연속 식량을 구하려 모인 민간인들을 향한 공격으로, 현지 의료진과 목격자들은 "무차별 사격"이었다고 증언했다. 유엔 사무총장은 "음식 때문에 목숨을 잃는 상황은 용납할 수 없다"며 독립적 조사를 촉구했다.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첫 아세안–GCC–중국 정상회의는 경제 성장과 전략적 자율성을 공유하는 세 지역이 미국 중심 질서에서 벗어나 다극적 협력체계를 모색하는 신호탄이었다. 이들은 인프라, 디지털 경제, 청정에너지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며 서방의 경제 압박에 대응하고 있다. 지정학적 균열과 미·중 경쟁 속에서도, 이 유연한 남반구 삼각축은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한 대안적 글로벌 질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네덜란드 극우 자유당(PVV)이 난민 수용소 축소, 국경 통제 강화 등 강경한 이민 정책을 연정 합의에 반영하라는 요구가 관철되지 않자 연정에서 탈퇴하며 딕 스호프 총리 내각이 붕괴했다. PVV는 협상 결렬 직후 “서명 없고, 조정도 없으니 우리는 떠난다”고 선언했다. 나머지 연정 정당들은 이를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EU 과학자 자문위원회는 유럽연합이 204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국제 탄소배출권 사용을 허용하려는 계획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배출권 구매가 국내 감축을 대체하면 환경적 신뢰성과 경제 전환을 해친다고 경고하며, 목표는 국내 감축으로만 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학적 개입은 정치 논쟁 중 이례적인 공개 비판으로, EU의 기후 공약 신뢰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캐나다 정부는 마약·무기 밀수를 막고 이민 시스템의 ‘무결성’을 강화하겠다며 망명 신청 제한과 감시 권한 확대를 포함한 『강력한 국경법(Strong Borders Act)』을 발의했다. 이 법은 1년 이상 체류한 이들의 망명 신청 금지, 공공 보건·안보 사유로 신규 이민 신청 중단 가능, 현금 거래 제한, 우편물 개봉 권한 강화 등을 담고 있다. 미국과의 관계 및 무역 협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재명 신임 대통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즉시 집권했으며, 트럼프의 고율 관세와 안보 재협상으로 경제·외교 위기를 동시에 맞고 있다. 미국이 대중국 전략에 한국을 끌어들이려는 움직임과, 트럼프-김정은 간의 잠재적 거래 가능성은 한국의 외교 자율성을 크게 흔들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계에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설득해야 하며, 조속한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다.
미얀마 북부 사가잉 지역과 카친 주가 폭우로 인한 홍수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이미 내전과 지진으로 고통받던 주민들의 삶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난민 캠프와 농경지가 침수되어 생계 기반이 붕괴된 가운데, 유엔은 군부 폭력과 경제 붕괴로 인한 전반적 인도주의 위기의 심화를 경고하고 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국제사회의 정치적 결단과 긴급 인도 지원, 국경 간 원조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