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인 적대법(Alien Enemies Act, AEA)을 근거로 베네수엘라인 이민자들을 강제 추방하면서 법적 논란이 커지고 있으며, 연방법원의 제동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법원이 일시적 금지 명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추방자들은 엘살바도르의 고위험 수감시설로 보내졌으며, 이에 대한 법적 공방이 대법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판결에 반발하며 담당 판사의 탄핵을 요구했으나, 연방대법원장 존 로버츠는 이를 공식적으로 반박하며 사법부의 독립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나토 탈퇴 위협과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으로 유럽은 독자적인 방위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EU는 대규모 군비 증강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무기 구매만이 아니라 대규모 병력 모집, 프랑스 핵우산 확대, 방위산업 통합 등 세 가지 핵심 과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유럽의 군사적 자립은 요원할 수 있다. 향후 유럽이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독자적인 방위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지는 전략적 통합과 정치적 리더십에 달려 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BRICS)이 설립한 New Development Bank(NDB)는 전통적인 서방 주도의 금융 시스템을 벗어난 대안적 다자 금융 기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이 국제 기구에서 영향력을 줄이며 후퇴하는 사이, 중국은 NDB를 비롯한 다양한 금융·무역 기관을 활용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NDB는 아직 세계은행(WB)이나 국제통화기금(IMF)에 비해 규모가 작고 내부 갈등과 서방 금융 시스템과의 연결성 등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에 합의했지만, 몇 시간 만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시설을 다시 타격하며 휴전이 사실상 무의미해졌다. 트럼프는 외교적 성과를 내세우려 하지만, 푸틴은 이를 이용해 협상 시간을 벌고 우크라이나와 미국 간의 갈등을 조장하며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 하고 있다. 결국 러시아는 군사적으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을 유지할 것이며, 트럼프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의 교착 상태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올해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가 처음으로 아마존에서 열리는 가운데, 브라질 파라 주의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기회를 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최근 주정부가 원주민 교육제도를 폐지하려 하자 원주민들이 장기간 점거 시위를 벌였고, 결국 법 개정을 철회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파라 주 정부가 국제 인권 기준을 지속적으로 무시해온 점을 고려할 때, 이번 COP이 원주민들에게 진정으로 포용적인 공간이 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에크렘 이마모을루 이스탄불 시장이 대선 후보로 나설 예정이었으나, 돌연 학위가 박탈되고 체포되면서 선거 출마가 위태로워졌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장기 집권을 위해 헌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강력한 경쟁자인 이마모을루를 견제하기 위해 법적·정치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튀르키예 전역에서 항의 시위가 벌어지고 경제 시장이 흔들리는 등 정치적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이마모을루가 선거에 출마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2024년 유럽에서 홍역이 급증하며 1997년 이후 최악의 유행을 기록했으며, 이는 낮은 백신 접종률과 팬데믹 이후 의료 접근성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백신은 홍역을 거의 완전히 예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허위 정보 확산과 반백신 정서가 접종률을 떨어뜨려 집단면역 기준인 95%에 크게 못 미치는 국가들이 많다. 특히 미국의 반백신 논리가 유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WHO는 홍역 확산을 막기 위해 신속한 대응과 정확한 정보 제공이 절실하다고 경고했다.
하마스는 휴전을 유지하며 협상을 이어가길 원했지만, 이스라엘과 미국의 냉담한 태도를 과소평가하고 협상 시간을 더 벌 수 있다고 잘못 판단했다. 이스라엘 내부의 정치적 균열이 전쟁 재개를 막아줄 것이라 기대했으나, 네타냐후는 오히려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전쟁을 지속할 동력을 확보했다. 하마스의 전략적 실수와 힘의 불균형 속에서 전쟁이 재개되었고, 이로 인해 가자 지구의 민간인들은 더욱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되었다.
가자 지구에서의 휴전은 이스라엘 극우 정당들의 반대로 사실상 종료되었으며, 네타냐후 총리는 정치적 생존을 위해 전쟁을 계속할 필요가 있었다. 그는 전쟁을 이용해 사법 개혁을 밀어붙이고 반대 세력을 숙청하면서 권력을 강화해 왔지만, 대다수 이스라엘 국민들은 전쟁 종식과 그의 퇴진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네타냐후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쟁을 지속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며, 휴전 재개 가능성을 사실상 차단했다.
미겔 데 우나무노(Miguel de Unamuno)는 1909년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이라는 개념을 패러디의 형태로 처음 제시했으며, 이는 훗날 줄리언 헉슬리(Julian Huxley)의 과학적 트랜스휴머니즘 개념보다 수십 년 앞섰다. 우나무노는 기술과 과학이 인간을 완벽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고방식을 비판하며, 기계화된 사고(‘cerebralism’)가 인간성을 왜곡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그의 조롱 섞인 트랜스휴머니즘 개념은 결국 현대 트랜스휴머니즘 운동의 철학적 씨앗이 되었으며, 인간 향상을 둘러싼 논쟁의 시초가 되었다.